가족의 정겨운 이야기를 담은 양면성의 공간
대지는 동탄 제2신도시 개발과 함께 조성된 단독주택 필지로 북서측으로 왕배산을 면하고 있는 부채꼴 형태의 이형 대지이다. 밀도가 높은 주택단지 내의 필지임에도 불구하고 배면으로는 야산을 품고 있고 측면으로는 작은 근린공원에 인접해 있어 경직된 여타 개발지의 풍경과는 사뭇 다른 쾌적하고 운치를 가지고 있는 곳이다. 생활가로 면을 향한 화담재의 입면은 무채색의 담담한 표정을 짓고 있지만 1층에서부터 2층 지붕선으로 연결되는 유려한 외벽의 곡면과 견고하게 쌓아 올린 깬 벽돌의 입면이 극적인 대비를 이루며 그 비례감을 만들어간다. 대지 경계를 따라 부드럽게 흐르는 두 개의 1, 2층의 남측 입면은 시간에 따른 태양의 입사각에 의해 그 깊이를 달리하며 그림자를 드리워 다채로운 입면의 변화를 주기도 한다. 동네 산책길에서도 집을 넘어 뒷동산을 바라볼 수 있도록 건축물의 일부 구간의 높이를 낮춰 주변과의 조화를 고려하였다. 다른 집들처럼 도로를 면한 남측에 마당을 두지 않고 북측에 후정을 두어 ㄴ자형 배치를 하니 자연스럽게 측면의 건축물과 도로 측에서의 외부 시선을 차단할 수 있었고 도로와 근린공원에서 발생하는 소음으로부터 자유로워질 수 있었다. 주택살이에서 사생활 확보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했던 클라이언트에게는 이렇게 만들어진 북향집은 큰 문제가 되지 않았다. 후정과 함께 햇살이 집안 깊숙이 스며들 수 있도록 한 포켓정원 만으로도 충분히 실내를 밝게 유지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오히려 도로 측에 면한 정면의 볼드한 입면과 대비되는 자연에 활짝 열린 반전 있는 건축물의 뒷태가 그들에게는 더욱 매력적인 부분으로 생각되었던 것 같다. 후정에 설치된 피벗 힌지 도어는 숲과 경계를 짓고 있지만 사용자가 필요에 의해 언제든지 열어 외부 자연이 이집의 마당의 연장이 되고 자연스럽게 하나가 되게 하여 집안에 새로운 풍경을 만들어낸다. 평소 많은 시간을 함께 보내며 소통에 능숙한 가족이지만 각자 온전한 개인 공간에 대한 갈증이 무척 컸다. ㄴ자의 양 끝단에는 사적 공간인 가족 개개인의 방을 들이고 중간의 연결 부위에는 1층에는 공적 공간의 성격인 거실과 2층에는 중정을 면한 서재와 옥외데크를 두어 가족이 한데 모여 시간을 보낼 수 있는 공간을 두었다. 실내의 모든 공간은 중정을 면해 만곡된 형태를 취하고 있어서 마당과 유기적인 관계를 언제든 맺을 수 있도록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