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바다를 향해 있는 2m석축으로 돋아 조성된 대지, 대지에 면한 도로로부터 대
지를 후정, 주거영역, 중정, 근린생활시설의 네 영역으로 구분을 두었다. 공간 사이
사이 삽입된 중정으로 인해 모든 공간에 고르게 빛이 들어오게 하고 공기가 잘. 드
나들 수 있도록 하였다. 1층 높이의 조적담과 구운대나무담을 이용하여 외부로부
터는 프라이버시를 보호하지만 주거 안쪽으로는 너른 중정을 두어 모든 공간이 중
정을 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중정을 중심에 두고 주거 영역과 근린생활시설로 명
확하게 구분이 되어 두 공간이 중정과 후정을 각각 공유하도록 하였다. 주거영역은
지상2층과 다락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삼각형의 단면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1층 거
실의 오픈부위를 통해 높은 천장고의 공간감을 갖게 하였다. 이 공간을 통해 가족
구성원들이 내부 공간들이 서로 소통하고 관계할 수 있도록 하여 친밀도를 높일 수
있게 하였다. 특히주방, 식당, 거실로 연결되는 너른 공간의 앞뒤로 후정과 중정을
바로 면할 수 있게 해 언제든지 정원을 즐. 기기 위해 직출입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근린생활도 2개층으로 오픈된 메자닌을 두어 원경으로 펼쳐지는 제주바다를 품도
록 하고 독특한 지붕의 형태가 내부 공간에서도 그대로 느껴지도록 하였다. 대지의
경사를 이용한 배치는 도로에 면한 주차장과 중정 그리고 주거영역의 1층까지 점
층적으로 그 높이가 높아지게 하였는데 이러한 단차이를 이용하여 외부에서도 내
부 중정이 훤히 보이지 않게 차폐가 가능하게 하면서도 공기의 유통이 수월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었다.